반응형

 

안녕하세요.

홈도슨트입니다

 

 

 

❖ 들어가면서 

 

오늘은 꼭 보셨으면 하는 2024년 5월의 전시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의 즐거운 전시관람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리뷰시작 ★

 

 

4월 초 관심갖고 있던 작가님 전시 소식을 듣고 가야지 가야지 하다가 결국 연차쓰고 갔습니다.

나란 인간..ㅎ

 

 

그전에는 비엔날레, 작년 스텔라갤러리, 최근 씨엘아트까지

작가님 전시가 있다면, 항상 찾아가봅니다.

 

 

 

[#무료전시] 최수앙,김서울: Neo Vision(2024.04.17-05.11)

📍최수앙,김서울: Neo Vision◾ 전시기간/ 2024.04.17-05.11◾ 전시장소/ 씨엘아트갤러리

homegallery.tistory.com

 

 

 

을지로3가역 7번 출구 옆에 바로 위치한 공간형7은 7번 출구에 있어서 공간형7이고,

공간형1은 1번 출구에 있어서 공간형1입니다.

지하철 출구 바로 옆이라 지하철을 이용하시는게 여러모로 좋을 듯합니다.

 



 

무료전시인지 알았는데 유료전시였던...입장료는 5,000원입니다

이럴 줄 알았다면, 노진아 작가님 전시기간 맞춰서 올껄 후회했습니다.

 

그래도 진짜 보고싶었던 전시라 만족했습니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약 10평정도 되는 원룸안에 작품들이 펼쳐져 있습니다. 

 

 

작품명: lslets of A type - I

 

 

 

최수앙 작가님은 그로테스크한 작품을 하기로 유명합니다. 굉장히 임펙트 있죠?

 

 

 

작품명: lslets of A type - X

 

 

바닥에 얼굴이 눌린 모습의 작품인데, 

어딘가는 부족한, 안쓰러운 모습을 보입니다. 너무 사람 얼굴같아 신기하기도 했고, 약간 슬픈느낌도 듭니다.

한편으로는 무기력하고, 힘없는 존재로서의 인간을 표현한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작품명: lslets of A type - XIII

 

 

유독 주먹이 큰 작품

치와와가 많이 왈왈대듯

겁이 많은 내가 세상에 맞서는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작품명: lslets of A type - VIII

 

 

 

한 푼만 줍쇼같은 작품

마치 자존심 굽히며 살아가는 현대사회인들은 모습을 대변하는 것 같습니다.

손이 진짜같죠? 

작품을 보면서 손을 잡아주고 싶었던...

손을 대면 안되니 넣어뒀습니다.

 

 

정말 강렬하고 인상 깊었던 전시였습니다. 

어딘가 부족하지만, 사람을 꼭 빼닮은 정교한 작품들은 복잡 미묘한 감정을 느끼게 해주네요. 

모두 극사실적인 작품들로 구성되었고, 

발기 된 성기 같은 19금 작품들도 있어서 올리고 싶었으나 못 올립니다.

직접 보심을 추천합니다.ㅋㅋ

역시 최수앙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작품 하나 하나 만족스러워서

다음에는 더 큰 전시회에서 보고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총 17점의 작품이 있는 전시였고, 전시 전경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공간에 조형물들이 배치된 형태라

유료전시인데 생각보다 작품수가 적네? 라는 생각이 들수도 있을 듯합니다.

그래도 저는 작가님 전시 보고싶었고, 작가님 내공을 다시 한번 느꼈어서 좋았습니다.

 

 

 

 

추천별점

☆ ☆ ☆ ☆

유료라 한개 뺌

 

 

 

<전시정보>

전시명: MAN

작가: 최수앙

전시기간: 2024.04.03-2024.06.09
관람시간: 화-일 12:00-19:00
관람료: 유료

-일반: 5,000원

-학생: 3,000원
문의: 0507-1410-7530

 

 

 

 

❖ 전시설명 

 

2024년 4월 3일부터 6월 9일까지 최수앙 작가의 <MAN>이 공간형7에서 전시합니다. 전시<MAN>은 인간, 혹은 인간의 삶이 무엇인가라는 형이상학적 사유를 동시대 예술의 어법으로 전유하고, 그 해답으로 소통을 향한 실천을 시도하는 작가, 최수앙에 주목합니다. 작가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 안에서 야기되는 갈등의 증상적인 면을 인체조각으로 가시화합니다. 조각들은 혼자만의 공간에서 눈을 감고, 귀를 막고, 입을 막고, 혹은 냄새를 맡고, 과도하게 발달한 입과 한 귀로 소문을 전파하는 등 뭔가 '옳지 않은 듯한 상태로 놓여있습니다. 

그리고 작가는 이들을 인간이 가지는 여러 취약한 모습들을 가진 개인 혹은 집단으로서의 A ("Asperger's Syndrome)라고 부릅니다. 아스퍼거증후군은 일방통행적 사고를 가지고 있어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는 증상을 보이는 정신질환을 말하는데, 소통의 부재로 인한 현대인들의 고립을 가시화한 신체조각. 어쩌면 또 다른 내 모습과 같은 조각이 대면하여 마주하는 장면을 상상하게 해줍니다. 

작가가 A조각을 통해 말하고자 한 것이 희망인지, 절망인지, 아니면 그 사이의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분명한 건, 우리 시대 결핍을 직시하며, 그 해결보다는 결핍을 대하는 태도를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예술가의 태도가 만들어내는 기괴함과 불편함은 관심을 요하듯 나를 끌어당기기도 하고 밀어내기도 하는, 인간이라면 반드시 겪게 되는 감정 혹은 느낌을 일깨우며 결점과 모순으로 가득한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합니다. 그리고 인류가 줄곧 대면해온 결핍과 고통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회망, 절망, 혹은 그 사이 어딘가로 우리를 데려다 놓으며, 어디로 가야할지 관객에게 스스로 자문하고 답을 찾도록 제안합니다.

<MAN>이 던지는 질문에 대한 답은 역설적으로 혼자서는 아무것도 느낄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미 세상에 존재하고 있던 관계망 속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타자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외부 세계란 없을 것입니다. 그렇게 타자들의 감각을 침입함으로써 우리에게 자각하기를 유도하면서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번 전시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인간을 새롭게 인식하는 것으로, 타인들과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관점과 이해를 창출하는 과정으로 작동되기를 바랍니다.

 

.

 

 

 

소통의 변증법

 

아이가 아이였을 때 질문의 연속이있다

왜나는 나이고 네가 아닐까?

왜난 여기에 있고 저기엔 없을까?

시간은 언제 시작됐고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이 세상에서 사는 것은 꿈이 아닐까?

보고 듣고 만지는 모든 것이 단지 환상이 아닐까?

악이 존재하나?

정말 나쁜 사람이 있을까?

내가 지금의 내가 되기 이전에는 대체 무엇이었니나?

언젠가는 나란 존재가 더 이상 내가 아니게 될까?

 

- Peter Handke의 유년기 노래' 중 -

 

 

 

 

❖ 장소 

서울 중구 을지로3가 291-49

 

 

 

❖ 인스타그램 

 

공간형: https://www.instagram.com/artspace_hyeong

 

 

 

최수앙: https://www.instagram.com/xooang/

 

 

 

도슨트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ome_artlier/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홈도슨트입니다
 

 

 

❖ 들어가면서 
 
오늘은 꼭 보셨으면 하는 2024년 5월의 전시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의 즐거운 전시관람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리뷰시작 ★

 
 

작년 에브리데이몬데이 단체전에서 작가님 작품을 처음보고, 기억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개인전 소식을 듣고 첫날 방문했습니다. 
전시회 첫날은 항상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다음부턴 피해서 가야할 듯합니다. 
동대입구역과 약수역의 딱 중간에 위치해 있어서 지하철 타고 어딜 내려도 걸어올라가는 위치에 있습니다. 
버스가 가능하면, 버스를 추천하고, 주차는 가능하긴 한데, 협소합니다.

작품명: 시선을 넘어

 
 

 
싱그러운 전시포스터의 그림입니다.
그림 속 주인공은 여성이며, 타인이지만, 작가 자신의 시선을 작품에 
투영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작가님 시선을 넘어 그 무엇이 있는지는 관람객의 상상에 맡기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작품명: 보이지 않는 끝

 
 
 

바닷 속 잠수하는 모습이 참 인상깊었습니다. 
요즘 더운데 참 시원한 그림이죠?
 
아 발리가고 싶다~

갑자기??

 
 

작품명: 일요일의 나처럼(좌측), 공존하는 시간(우측)

 
 
 

일요일의 나처럼이 아니라 일요일의 저처럼
참 공감이 되는 그림입니다. 
오른쪽의 핑크색 그림은 갤러리 벽에 걸려있는 현수막 그림입니다.  

 
 
 

작품명: 숨고르기

 
 
 

바다에서 놀고 나와 백사장에 앉아 숨을 고르고 있는 여성의 그림입니다. 저는 이 그림이 참 좋네요.
이상하게 저는 바다, 물, 수영과 관련된 그림을 좋아합니다. 
도대체 왜그런 걸까요?

 
 

작품명: 느린날

 
 
 

전시의 전반적인 평은 그림을 보고 개운하고, 상큼한 느낌이 드는 전시였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총 14점의 작품이 있는 전시로 무겁지않고, 프레시한 느낌은 기분좋게 만듭니다.
 
 

 

추천별점

☆ ☆ ☆ ☆ 

 
 
 

 


<전시정보>

전시명: Following, 부유하는 시선들
작가: 정고요나
전시기간: 2024.05.02-06.08
관람시간: 화-토 10:00-18:00
관람료: 무료
문의: 02-2233-8981

 
 
 

 

❖ 전시설명 ❖

 
2024년 5월 2일부터 6월 8일까지 정고요나 작가의 개인전 <Following : 부유하는 시선들>이 페이토갤러리에서 전시합니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그동안 작업의 연장선에 있는 신작을 선보입니다. 사람들이 SNS에 사진을 편집해서 올리는 행위, 개인에 기준에 맞춰 ‘필터링’된 이미지에 포커스를 맞춰 개념적인 이미지를 작업한 것에서 좀 더 열려 있는, 전체를 아우르는 ‘아주 사적인 절차-In my algorithm’를 거쳐 이번에는 좀 더 작가 개인의 시선을 담는 작업들을 통해 여성작가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페미닌Feminine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작가의 작품은 개인이 SNS에 올려놓은 셀카나 사진의 한 부분을 캡쳐하고 작가의 시선으로 필터링해 캔버스에 옯기는 작업을 하는데, 개인이 SNS에 올린 사진은 이미 각자의 기준에 맞게 필터링되어 게시된 이미지로 타인에게 보이고 싶은 ‘자기 검열’인 동시에 그 의도가 드러나지 않기를 원하는 현대인의 욕망을 드러내는 이미지입니다. 작가는 이러한 온라인의 이미지를 작품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동시대의 사회상을 이해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전시 관람을 하는 관객들은 이러한 작가의 시선과 의도를 충분히 느끼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의 일상을 그리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단순한 기록이 되겠지만,
타인의 일상을 그리는 것은 어떻게 보면 상상이 들어간다.
SNS에 올려진 사진을 그림으로 옮기면서 이미지 속 상황,
감정은 본인이 아니기에 정확히 알 수 없기에
그런 상상을 하게 만드는 그런 장치가 발현되는 것이다.
이것은 나의 일상을 기록한 회화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나의 그림을 보면 그 당시의 기억을 떠올리지만,
타인이 나의 기록을 보면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서 상상하며 이해하기 때문이다.
이런 작업을 해보고 싶었다...
어쩌면 우리는 편집된 일상을 살고 온라인상에서
만난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현대인의 삶에서 오는
고독감과 관계에 대한 욕망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 작가노트 중 -

 
 
 
 
 

❖ 장소 
04607  서울 중구 동호로 220 4층 페이토 갤러리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peytogallery
 
 
 
https://www.instagram.com/goyona_jung

 
 
 

https://www.instagram.com/home_artlier

 
 
 
 
 

반응형
반응형

 

 

 

 

📍 준초이: 필연적 만남

 전시기간/ 2024.05.14-2024.06.20

 전시장소/ 두손갤러리

 

 

 

반응형
반응형

 

 

 

📍 김재남,오세열,이세현,이열: 한껏 당겨진 은빛 활

 전시기간/ 2024.05.06-2024.05.19

 전시장소/ RnL갤러리

 

 

 

반응형
반응형

 
 
 
 
📍 최수앙: MAN
◾ 전시기간/ 2024.04.03-2024.06.09
◾ 전시장소/ 공간형7
 
 
 
 

 

 

 

 

 

 

★ 리뷰소개 ★

 

 

[#전시산책] 최수앙: MAN(2024.04.03-2024.06.09)

안녕하세요.홈도슨트입니다   ❖ 들어가면서 ❖ 오늘은 꼭 보셨으면 하는 2024년 5월의 전시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의 즐거운 전시관람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homegallery.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정고요나: Following, 부유하는 시선들
◾ 전시기간/ 2024.05.02-2024.06.08
◾ 전시장소/ 페이토갤러리

 

 

 

 

 

 

 

  전시리뷰 ★

 

https://homegallery.tistory.com/135

 

 

 

 

 

 

반응형
반응형

 

 

 

📍임재형: 배회

전시기간/ 2024.04.29-2024.05.31

전시장소/ 갤러리 마프

 

 

 

 

 

 

반응형
반응형

 

 

#전시설명

 

ART CHOSUN과 TV CHOSUN이 공동 주최하고 ACS 가 기획한 김창열(1929-2021)의 《물방울 연대 : The Water Drops from Paris to Korea》가 2023년 9월 6일부터 10월 28일까지 광화문 아트조선스페이스에서 개최된다. 총 회화 24점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연대(年代)별로 김창열의 예술 세계 전반을 총망라하여 물방울 탄생 이후의 그 전개 과정을 유기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물방울이 처음으로 김창열의 작품에 등장하기 시작한 <Water Drops>(1973)부터 화면 속 한자가 도입된 회귀(Recurrence)연작, 물방울과 얼룩의 병치가 돋보이는 <Water Drops>(2003), 다양한 색과 형태의 변화를 시도한 채도 높은 노란색 바탕의 <Recurrence>(2010)까지 한 자리에서 선보인다. 파리 체류 당시 시작된 물방울 초기 작품부터 빛의 반사 효과로 인한 물방울 그림자가 두드러지는 말기 작품까지 예술 세계 전반을 아우른다. 또한 쇼윈도 공간에 설치된 300호 크기의 초대형 회귀 작품도 함께 선보이는데 한자와 이미지의 대비를 너머 동양 철학을 집약한 작품으로 관람객에게 큰 울림을 줄 것이다.

 

특히 이번 전시 서문은 작가의 차남인 김오안 감독이 맡았다. 김창열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The Man Who Paints Water Drops)>(2021)의 공동 감독이기도 한 김오안은 아버지 김창열에 대한 기억을 이번 전시를 위해 글로 풀어냈다. 김오안 감독은 전시 서문에서 “생전 아버지께서는 늘 품위를 지녀야 한다고 강조하셨다.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이런 말들의 의미가 다소 퇴색했을지는 몰라도, 아버지의 작품은 여전히 그 의미를 아름답게 뒷받침해 주는 듯하다”라고 했다.

 

 

Co-presented by ART CHOSUN and TV CHOSUN and curated by ACS, "The Water Drops Chronology: The Water Drops from Paris to Korea" by Kim Chang-yeol (1929-2021) will be held from September 6 to October 28, 2023 at Art Chosun Space, Gwanghwamun. Consisting of 24 paintings, the exhibition will cover the entirety of Kim Chang-yeol's artistic world by chronological period, reexamining the development of water drops since their birth from an organic perspective.

The exhibition presents works from Water Drops (1973), when water drops first appeared in Kim's work, to the Recurrence series, which introduces Chinese characters on the screen, Water Drops (2003), with its juxtaposition of drops and stains, and Recurrence (2010), with its saturated yellow background and various color and form changes. From the early works of Water Drops, which began during his stay in Paris, to his later work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shadows of water drops caused by the reflection of light, the exhibition covers the entire artistic world. In addition, a large-scale regression work of 300 issues installed in the window space will also be presented, which will resonate with visitors as a work that incorporates Eastern philosophy beyond the contrast of Chinese characters and images.

Director Kim Oan, the artist's second son, will provide an introduction to the exhibition. Kim, who is also the co-director of The Man Who Paints Water Drops (2021), a documentary film about Kim Chang-yeol, put his memories of his father into words for this exhibition. "During his lifetime, my father alway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dignity," Kim writes in the exhibition's foreword. Although the meaning of these words may have faded somewhat in today's modern society, I think my father's work still supports them beautifully."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출처: 아트조선스페이스

 

 

 

 

 

 

 

 

 

PLACE


(04519)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30

 

 

 

 

 

 

[출처]

 

Current | ACS

전시 기간     2023.09.06(수) ─ 10.28(토) ​ 장       소     ART CHOSUN SPACE                   서울시 세종대로21길 30 1층                   화 - 토 : 오전 10시 - 오후 6시                  

www.artchosunspace.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