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김환기,유영국,이성자: 한국추상미술의 선구자
◾ 전시기간/ 2024.04.23-2024.05.23
◾ 전시장소/ 현대화랑

 

 

 

 

반응형
반응형

 

 

 

 

 

📍리지아 파페: LYGIA PAPE
◾ 전시기간/ 2024.03.22-2024.05.25
◾ 전시장소/ 화이트큐브서울

 

 

 

 

 

 

반응형
반응형

 

 

 

 

📍추미림, 홍승혜: 파트너스 데스크
◾ 전시기간/ 2024.04.12-2024.05.18
◾ 전시장소/ 디스위켄드룸

 

 

 

반응형
반응형

 

 

 

📍최수앙,김서울: Neo Vision
◾ 전시기간/ 2024.04.17-05.11
◾ 전시장소/ 씨엘아트갤러리

 

 

반응형
반응형

 

 

 

 

📍김선희: 실제, 실체의 실재
◾ 전시기간/ 2024.04.11-2024.05.18
◾ 전시장소/ 라흰갤러리

 

 

 

반응형
반응형

 

 

 

📍토니 스웨인: Dilemma To Rely On
◾ 전시기간/ 2024.04.25-2024.05.25
◾ 전시장소/ 갤러리바톤

 

 

 

 

 

 

반응형
반응형

 

 

 

📍이재현: Life Has Meaning
◾ 전시기간/ 2024.04.20-2024.05.10
◾ 전시장소/ 플래티넘갤러리

 

 

 

반응형
반응형

 

 

 

 

📍유재연: 밤에 그리러 나갔다가
◾ 전시기간/ 2024.04.17-2024.05.18
◾ 전시장소/ 도잉아트

 

 

 

 

 

 

★ 전시리뷰

 

[#전시산책] 유재연: 밤에 그리러 나갔다가(2024.04.17-05.18)

안녕하세요.홈도슨트입니다   ❖ 들어가면서 ❖ 오늘은 꼭 보셨으면 하는 2024년 5월의 전시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의 즐거운 전시관람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homegallery.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김용일,이은황,하이경: Season of Memories
◾ 전시기간/ 2024.04.20-2024.05.17
◾ 전시장소/ 갤러리벨비

 

 

 

 

 

 

 

 

반응형
반응형

 

 

 

#전시설명

박서보 작가의 유작전이 연장되어 조현화랑 달맞이와 해운대점에서 831일부터 123일까지 열린다. 1991년 박서보 작가의 첫 개인전으로 인연을 맺고, 이후 총 14번의 전시를 기획해온 조현화랑은 이번 개인전을 통해 아직까지 국내에 공개되지 않은 박서보 작가의 신작 묘법을 선보인다. 박서보의 묘법은 1970년대 초기의 연필 묘법, 1980년대 중기 묘법, 2000년대 이후의 후기 색채 묘법으로 구분된다. 이번 전시는 2020년대를 기점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후기 연필 묘법을 국내 최초로 소개하는 뜻깊은 자리로, 12점의 후기 연필묘법이 공개된다. 또한, 올해 제작 및 발표된 디지털로 묘법을 재해석한 비디오 작품이 1000호에 달하는 연보라 묘법 대작과 더불어 몰입감 있는 관객 참여형 설치로 소개된다. 이외에도 화려한 색감이 돋보이는 세라믹 묘법 6, 판화 작품 15점을 포함하여 총 35점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생의 마지막 날까지 끊이지 않는 탐구와 실험 정신으로 묘법 시리즈를 지속해온 박서보 작가의 수행의 결과물을 목격하게 한다.

조현화랑 달맞이의 돌계단을 올라 커다란 철문을 열면 평소 전시실과는 사뭇 다른 어두운 공간을 마주하게 된다. 넓이 5,50m, 높이 2,50m의 대형 스크린에 비치는 화면은 박서보 작가의 묘법 중 연보라의 강렬한 색감과 입체감 있는 질감을 초고해상도로 확대하여 움직임을 부여한 디지털 작품이다. 아주 작은 지점에서 시작되어 전체로 확장되면서, 평소 눈으로 관찰할 수 없었던 세밀한 디테일을 느끼게 하는 이 작품은 박서보 작가의 손자 박지환이 제작한 것으로, 아날로그 방식에 익숙하던 작가가 디지털 문명을 대면하며 느낀 공포심에 대한 돌파구로 사용하기 시작했던 색채가 다음 세대를 통해 디지털 화면으로 재해석된 의미가 크다.

 

전시장을 가득 채우는 연보라의 오묘한 빛을 따라 끝없이 이어질 것 같은 환영 속을 거니는 끝에, 디지털 작품의 원형이 비좁은 전시실에서 발견된다. 1000호에 달하는 박서보의 연보라 묘법은 2010년에 제작된 것으로, 캔버스 표면에 올려져 일정한 간격으로 그어내는 과정에서 눌리고 밀리면서 선과 색을 안으로 흡수하는 한지의 물성이 연보라색과 어우러져 비움을 통한 채움의 정신성을 묵묵히 발현한다. 손의 흔적을 덮는 규칙적인 선이 만들어내는 절제에 담긴 색감이 자연의 자기 치유 능력을 발휘하듯 소멸하고 소생하길 반복하며 기운을 흡수하고 또 발산한다.

 

전시는 화랑 내부의 계단을 통해 2층에서 이어진다. 고요한 푸른 색감으로 칠해진 커다란 전시 공간에는 박서보가 1986년 중단하였다가 최근 작업에 재개한 신작 연필 묘법 12점이 나란히 진열되어 있다. 밝은 파스텔 톤의 색감 위로 반복과 평행의 리듬감 있는 신체성을 드러내는 연필묘법에 대해 박서보 작가는 무목적성으로 무한반복하며 나를 비우는 작업이라고 설명한다. 캔버스 표면에 반복적으로 선을 긋는 연필 묘법은 세살난 아들이 글씨 연습을 하면서 지우고 다시 쓰기를 반복하다가 결국 연필로 빗금을 치는 모습을 보고 체념을 떠올리면서 시작되었다.

 

손에 한지가 닿을 때 그 방향을 바꿔서 진행하는 과정은, 묘법을 매일같이 그려오며 신체와 같이 익숙해 졌기에 비로소 가능한 작업이다. 자연의 빛을 정신화한 파스텔 톤의 작품엔 알 수 없는 위로와 안정감이 깃든다. 유화물감이 밀리고 한지가 찢기는 물성에 세밀하게 반응하는 거장의 자유로운 손길이 경직된 모든 것을 극복한 온화하고 따스한 파스텔 톤의 색채와 더불어 존재 이전의 무한으로 뻗어나간다. 전쟁을 겪고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모든 것을 스스로 해내야 했던 젊은 시절의 좌절을 돌파해낸 의지로, 불규칙하고 거친 자연에서 광활한 시야로 자정 능력을 길어낸 박서보에게 자연과 화폭은 물리적인 대상인 동시에 은유이다. 오랜 시간의 수련을 한치의 오차도 없이 화폭에 담아 조율하는 박서보의 묘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 없이 변화하며 확장되는 힘을 느끼게 한다.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신작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후기 연필 묘법 시리즈와 디지털 묘법 등 박서보 작가의 묘법을 다양한 물성을 통해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희귀한 기회이다. 국내 최초로 공개되는 디지털 묘법은 전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프리즈와 키아프 아트 페어 기간을 포함한 약 한달 동안 서울 코엑스 SMTOWN 건물 외벽에 위치한 국내 최대 규모의 커브드 LED 전광판에 송출할 예정으로, 초고화질 화면에서 나오는 묘법 시리즈를 도심 한복판에서 생생하게 만나게 된다. 조현화랑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70여년이 넘게 진행되었던 화업 동안 끊이지 않는 탐구와 실험 정신으로 묘법 시리즈를 지속해 왔던 박서보의 지치지 않는 수행의 결과물을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ark Seobo's retrospective exhibition has been extended and will run from August 31 to December 3 at JoHyun Gallery's Dalmaji and Haeundae locations. Jo Hyun Gallery, which organized the artist's first solo exhibition in 1991 and has organized a total of 14 exhibitions since then, will present new works by Park that have not yet been shown in Korea. Park's work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pencil work from the early 1970s, mid-century work from the 1980s, and late color work from the 2000s and beyond. This exhibition marks the first time in Korea that the artist's late pencil techniques, which began to be produced in the 2020s, will be introduced, and a total of 12 late pencil techniques will be on display. In addition, digitally reinterpreted video works created and published this year will be introduced as an immersive audience participation installation alongside the 1,000-piece mauve masterpiece. With a total of 35 works, including six ceramic works and 15 prints, all of which stand out for their brilliant colors, the exhibition allows visitors to witness the results of Park's practice, as he continued his series with a spirit of constant exploration and experimentation until the last day of his life.

Upon climbing the stone stairs of the JoHyun Gallery and opening the large iron gate, visitors will find themselves in a dark space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usual exhibition hall. Projected on a large screen measuring 5.50 meters wide and 2.50 meters high, the screen is a digital work that enlarges the intense colors and three-dimensional textures of Yeonbora, one of Park's paintings, in ultra-high resolution and gives them movement. Park's grandson, Park Ji-hwan, created the work, which starts from a very small point and expands to the whole, making the viewer feel the fine details that cannot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a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colors that the artist, who was used to analog methods, began to use as a breakthrough against the fear he felt when facing digital civilization, have been reinterpreted on a digital screen through the next generation.

After wandering through the seemingly endless illusion of the lotus lights that fill the exhibition hall, the prototype of the digital work is found in the cramped exhibition room. Park's mauve paintings, numbering 1,000, were created in 2010, and the physicality of hanji, which absorbs lines and colors as it is pressed and push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canvas during the process of drawing at regular intervals, combines with the mauve color to silently express the spirituality of filling through emptying. The restrained colors created by the regular lines covering the traces of the hand absorb and radiate energy as they are repeatedly extinguished and revived, like the self-healing power of nature.

The exhibition is accessed from the second floor via a staircase inside the gallery. In a large exhibition space painted in a serene blue hue, 12 of Park's new pencil drawings, which he stopped working on in 1986, are displayed side by side. The pencil drawings, which reveal a rhythmic physicality of repetition and parallelism over light pastel colors, are described by Park as "a work that empties me by repeating infinitely with an aimlessness." The pencil technique of repeatedly drawing lines on the surface of the canvas began when Park was frustrated by watching her three-year-old son practicing his handwriting, erasing and rewriting over and over again, and eventually making combinations with a pencil.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pencil as it touches the paper in her hand is only possible because she has been practicing the technique every day and has gotten used to it like her body. The pastel-toned work, which spiritualizes the light of nature, gives me an unknown sense of comfort and security. The master's free hand, which responds delicately to the materiality of oil paint being pushed and Hanji being torn, stretches into the infinity of pre-existence with the gentle and warm pastel colors that overcome all rigidity. Nature and the canvas are both physical objects and metaphors for Park, whose willpower overcame the frustrations of his youth, when he had to do everything on his own after the war and the death of his father, and who developed his self-discipline from an irregular and rough nature to a vast vision. Park's technique, which involves long hours of practice, and his ability to manipulate the canvas without a single error, gives us a sense of the ever-changing and expanding power of time.

This exhibition, featuring previously unseen works, is a rare opportunity to view Park's technique in three dimensions through various materials, including his late pencil technique series and digital technique. The digital drawings, which will be show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ill be broadcast on the country's largest curved LED display locat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SMTOWN building at COEX in Seoul for about a month, including during the Frieze and Kiaf art fairs, allowing viewers to experience the series of drawings on an ultra-high-definition screen in the heart of the city. The exhibition at JoHyun Gallery is expected to provide a unique opportunity to view the results of Park's tireless practice, as he has continued his Ecriture series with a spirit of exploration and experimentation over the course of his more than 70-year career.

 

 

 

 

출처: 조현화랑

 

 

 

 

 

출처: 조현화랑

 

 

 

 

 

출처: 조현화랑

 

 

 

 

 

출처: 조현화랑

 

 

 

 

 

출처: 조현화랑

 

 

 

 

 

출처: 조현화랑

 

 

 

 

 

출처: 조현화랑

 

 

 

 

 

PLACE


(48117)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길65번길 171

 

 

 

[출처]

 

Johyun Gallery

 

www.johyungallery.com

 

반응형

+ Recent posts